나만 멀쩡해서 미안해

조성국 지음

브랜드 문학수첩

발행일 2020년 1월 13일 | ISBN 9788983928016

사양 124x198 · 168쪽 | 가격 8,000원

시리즈 시인수첩 시인선 31 | 분야 시집

책소개

뜨겁지는 못했어도 욕보이지 않고 견뎌 냈다는,

살아남아서 더 아팠다는, 미안함은 누구의 몫일까?

시인 조성국의 세 번째 시집

 

미안함이 사무치면 시가 되는 것일까? 미안해서, 그 사무치는 마음을 어찌하지 못해서, 그나마 “맘 가는 게 이것뿐”(‘시인의 말’)이어서 시를 써야만 했던 이가 있다, 반세기 넘는 세월을 건너며 오르막 내리막 생의 굴곡을 허다히도 타고 넘었을 것이 분명한데, 나만 멀쩡해서 미안하다고 고개를 조아리는 그. 조성국 시인이다. 때때로 넘어지고 굴러 무릎도 까지고 손바닥에도 생채기가 났을 텐데 그는 아무렇지 않게 손발을 털며 짐짓 괜찮다고 말한다. 어쩌면 ‘괜찮은 척’인지도 모를 포즈로 짐짓 기세도 부려 가며 겉과 옆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제는 기억 속에 아련한 구석 어딘가, 잊히고 묻힌 어느 언저리를 발견해 그에 얽힌 사연을 읊조리는 시인의 내면은 사뭇 미안한 감정으로 점철되어 있다.

시대의 아픔을 고스란히 간직한 광주, 그곳 염주마을에서 나고 자란 조성국 시인은 도무지 잊히지 않는, 아니 잊어서는 안 되는 기억으로 인하여 못내 편치 않은 생을 살아왔다. 그가 지닌 시대적 부채감의 구체적 근거는 그의 삶의 궤적에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특히 1989년 조선대학교 재학 중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경찰의 수배를 받다 숨진 채 발견된 이철규 열사와 함께 조선대 교지인 『민주조선』을 창간했던 시인의 이력이나 그가 등단하면서 『창작과비평』에 발표한 시의 제목이 「수배일기」였음을 돌이켜 볼 때 시인이 짊어지고 있는 역사와 삶의 무게가 어느 정도일지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 시대와의 불화라기보다는 역사의 한복판을 질러 온 청춘의 열정과 빛나는 좌절, 그리고 사반세기가 훌쩍 지나도 벗어날 수 없는 미안함과 편치 않음이 그가 걷고 있는 시의 자리이다.

1990년 『창작과비평』 봄호로 등단한 그는 이제까지 두 채의 시의 집을 지었다. 등단 17년 만에 펴낸 『슬그머니』와 5년 후 펴낸 『둥근 진동』이다. “풍경과 인사(人事) 속에서 어떤 절정의 순간을 포획하는”(고재종, 『슬그머니』 추천글 중에서) 그답게 이번 시집에서도 조성국 시인은 그를 둘러싼 풍경과 사람들에 비낀 사연들을 농축된 토속 언어들로 채집해 내었다. 시의 집짓기를 일컬어 “발견하는 자의 노래”라고 말하는 시인은 과연 눈과 마음에 맺힌 상들을 발견해 내어 시인의 고유한 어조와 음색으로 노래한다. “나만 멀쩡해서 미안”한, 그래서 하염없이 구석을 발견하고 응시할 수밖에 없는 그의 내면에 대하여.

 

 

숙명처럼 짊어져야 할 빚진 마음

 

“살아남아서 더 아픈 한 시절”을 어찌 다 헤아릴 수 있을까. 다만 우리네의 생이 누군가의 목숨을 담보로 연장되는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할 때 고개가 주억거려진다. 그렇게 우리는 하루, 한 달, 한 해씩을 잇대어 가며 다른 이를 ‘대신해’ “살아남은” 존재이기에, 도리어 살아 있음이 더 무겁고 아픈 것이다. 그러나 그 빚진 마음은 역설적으로 하루 또 하루를 뚜벅뚜벅 걸어 나갈 수 있는 힘의 근원이 되기도 한다. “겉과 옆에 무엇이 있고 누가 있어 나를 이만큼 견디게 했는지”를 끊임없이 상기하며 오늘을 살아가고 내일을 희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게 시인은 “뜨겁지는 못했어도 한때 열렬히 사랑했던 것들을 욕보이지 않고 견”(『시인수첩』 2019 겨울호, 『詩사회』 중에서)디어 낸다.

3.

나만 멀쩡해서 미안한,

살아남아서 더 아픈 한 시절

네가 살아남았다 한들

마음 편치 않긴 너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몸 도사리듯

가장 구석진 자리에 앉아서도

새맑게 웃는 버릇 여전하구나

앳된 흑백의 청춘과

붉은 산그늘 드리워진 영정맡에 향 피우듯

담배 한 개비 물려 놓고

예서 눈빛 치떠 뜨며 몇 발자국 떼면

확 붙었다 꺼져 가는 성냥개비의 뼈 그스름같이

고스란히 밴

비명, 그러나 증거 댈 수 없는 무등의

청옥동 4수원지 기슭을

후다닥, 쫓겨 뛰는 숨 가쁜 발자국 소리

여전히 들리듯 보이는데

보이듯 들리는데

어쩌자고 나는 너를 먼저 보내고 매번 바람의

조문만 받는 것이냐

너를 먼저 보낸 서러움의, 분노의 무게는 자꾸만

자꾸만 아련해져 가벼워지는 것이냐

―「수선화 피는 망월28-2번지」 부분

 

그럼에도 불구하고 “먼저 보낸 서러움의, 분노의 무게는” 자꾸만 “아련해져 가벼워지”기만 한다. “후다닥, 쫓겨 뛰는 숨 가쁜 발자국 소리”가 “여전히 들리듯 보이”고 “보이듯 들”려도, “서러움”과 “분노”의 무게는 세월에 풍화되어 아스라해져 있다. 기억만큼 감정도 닳고 해어져 가는 것일까? 어제 일인 듯 선연하고 명징한 소리에 엉겨드는 시인의 감정은 그래서 더욱 복잡하고 착잡했을 테다. 그것이 결코 “멀쩡”하지 않음에도 “멀쩡해서 미안”하다고 읊조려야만 하는 시인의 숙명인 셈이다.

 

 

밀려난 것들을 끌어안는 마음으로

 

구석은 구석이라는 이유로 없어지고, 구석이 없어짐으로 하여 또 다른 구석은 생긴다. 거기에는 조성국 시인이 능숙한 솜씨로 부려 놓은 남도 말도 있을 것이고, “솔깃하며 정갈하니 새겨듣는”(「갓밝이」) 떨림도 있을진대, 점점 밀려난다. 더 구석으로, 저기 구석지로……. 『나만 멀쩡해서 미안해』는 우선 그 구석에 대한 시집이다. 시인의 성정대로, 구석에 먼저 위치하여 구석으로 밀려난 것들을 껴안는 시집인 것이다.

―발문, 「미안함의 공동체에 이르기까지」 부분

 

시인은 서서히 세월에 밀려나는, 그래서 잊혀 가고 묻혀 가는 구석의 풍경들을 살뜰히 들여다보고 따스하게 끌어안는다. “안침진 뒤울안”에 “낭창낭창 휘어”지는 “은방울꽃대”(「구석에서 생긴 일」)에, “고매(古梅)향 걸터앉은 툇마루/호듯호듯 끓는 볕살”(「저녁 목소리」)에, “연못가의/돼지막 헛간을 개조한 집”(「사라진 집터, 삐뚤빼뚤 배롱나무꽃만 돋는」)에 시선을 드리운다. 그뿐인가. “폐가에서 주워 온 아랫목구들장을 빈 마당 디딤돌로/갖다 놓”기까지 한다. 그 누구도 눈길 주지 않는 구석을 이토록 기웃대는 시인의 속내는 무엇일까.

 

폐가에서 주워 온 아랫목구들장을 빈 마당 디딤돌로

갖다 놓았더니,

곁이 생겼다

 

바람에 실려 온 앉은뱅이민들레나 땅꼬마채송화가 꽃

댈 올리고 만판 피기도 할라치면

 

돌 옆에, 라고

자늑자늑 말할 수 있게 되었다

 

불기운 까맣게 식은 옆구리에 곁이 생겨 사방팔방 다

환한 걸 보면

문득 사는 게 별게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곁」 전문

 

일부러 멈추어 서서 시간을 들여 가만히 들여다보지 않으면 기척조차 감지할 수 없는 존재들. 그저 별 수 없이 사위어 가는 불길처럼 허망한 존재들에게 시인은 숨을 불어넣는다. 마음 둘 곳 없어 서성대다가도 그런 존재들을 발견하면 한달음에 달려가 힘껏 끌어안는다. 그리하여 명을 다한 “아랫목구들장”조차도 새 생명을 입고, 그 주위의 것들을 환히 밝힌다. “불기운 까맣게 식은 옆구리에 곁이 생겨 사방팔방 다/환”해졌기 때문이다. 스스로를 “이미 한물간 내가”(「염주마을 옛집에 들다」)라고 일컫는 그가 구석을 품는 까닭은 잊혀 가고 묻혀 가는 그 풍경들 속에 여전히 살아 움직이는 불씨가 있음을 알아서다. 그렇게 조건 없이 끌어안는 시인의 너른 품에서 구석으로 밀려난 존재들의 따스한 연대가 이루어진다.

목차

■ 차례
시인의 말

1부 | 반동의 꽃봉오리 향기가 이내 화안하다
구석에서 생긴 일
저녁 목소리

떨림의 무늬 명옥헌 1
못물에 이우는 꽃잎 파문으로… 명옥헌 2
사라진 집터, 삐뚤빼뚤 배롱나무꽃만 돋는 명옥헌 3
탐매
저녁이 올 때
봄밤
또, 봄밤
쇠스랑게의 손차양 멀리
갓밝이

2부 | 살그머니 찾아오기나 하듯이
복날이면 생각나는 기억
발칙한 생각
층간
매혹적이랄 만치 출중한 미모의 여자와
옥녀봉
뒈지게 대갈통 몇 대 쥐알려 박을 수밖에
실연
동정 여인숙
방울토마토
빳빳한 내 시집 한 권이
개미의 집
나비 늑인
실직
뒷골목 선술집에 가는 이유

3부 | 새까맣게 문드러져 빛나는
도다리
자벌레
무 넣고 고등어찌개를 맛있게 끓이는 방법
도둑괭이
영월(盈月)
파일(八日)
입양
돌부처 코를 갉아먹고 생겼다는 나는
당산나무 상제(喪祭)

맏상제
조문의 봄밤
염주마을 옛집에 들다
명자나무 서슬

4부 | 너에게 파묻히다
너에게 갇히다
상견례
꼽꼽쟁이
손바닥 낙인

불두
입김
월광욕
어떤 벌(罰)
침 몸살
비 몸살
한 식구
말경 명옥헌 4
하숙
상중(喪中)

5부 | 치욕도 단련된다
봇물
고욤나무집
초승달 연정
첫눈
치욕도 단련된다
끼니
매병
지혜학교
늦은 목련
광주공원
수선화 피는 망월28–2번지
봄동
왼발잡이
자정
일죄재범
망각

해설 | 서효인(시인)
미안함의 공동체에 이르기까지

작가

조성국 지음

전라남도 광주 염주마을에서 태어났다. 1990년 『창작과비평』으로 등단했다. 시집 『슬그머니』 『둥근 진동』, 동시집 『구멍 집』, 평전 『청년 이철규』 등을 출간했다.

자료실
댓글